처음으로 회고라는거를 해보고자 한다. 2024년도가 끝나기 전에 회고를 해야 의미가 있을거라고 생각되어 지금이라도 작성해본다.
팀 이동
기존에는 금융 계통의 멤버십 서비스 채널계 개발을 담당하고 있었다. 처음 해당 부서에 배치되었을 당시에는 몇몇 동기들처럼 원하지 않는 업무를 하는 게 아닌, Java 기반의 자체 서비스 운영 및 개발을 할 수 있다는 것에 만족감을 느꼈다.
하지만 점차 반복적인 개발 업무가 많아지는 것을 느꼈고, 내 성장이 점차 멈춰가는 것을 느꼈다. 이를 피하고자 팀 내에서 팀원을 모아 프로젝트도 진행해 보았지만, 성장에 대한 갈증을 해소하지 못했다. 그런 와중에 사내 팀 이동 공지가 뜬 것을 확인했고, 하필 해당 팀은 AI를 다루는 팀으로 쿠버네티스 환경의 플랫폼 엔지니어들과 모델 개발자들이 있는 팀이었다. 나 스스로가 새로운 기술을 공부하고 배우며 더 성장할 수 있는 팀이었고, 팀 이동을 진행하게 되었다.
새로운 언어인 Python을 기반으로 된 백엔드 개발과 쿠버네티스 환경의 플랫폼 엔지니어로서 업무를 같이 진행하였고, 새로운 기술을 학습하고 내 것으로 만들기 위해 공부를 진행하니 하루하루가 빠르게 지나갔다.
그리고 해당 팀으로 이동하여 업무를 진행하면서 나 스스로를 되돌아보았고, 내가 진정으로 원하는 것은 무엇인지 알게 되었다. 나는 Python 기반의 백엔드 개발보다 Java 기반의 Spring 백엔드 개발을 더 원한다는 점과 플랫폼 엔지니어로서 인프라를 구성하고 구축하는 업무를 하는 것도 괜찮지만 백엔드 개발보다는 덜 하다는 점이다. 비율로 따지자면 7:3 정도?
팀을 이동함으로써 나는 3가지를 얻게 되었다. 스스로의 성장에 대한 갈증을 해결, Spring 기반의 백엔드 개발을 원한다는 것, 플랫폼 엔지니어로써의 역량(쿠버네티스 구성, Jenkins CI/CD 파이프라인 구성 등).
다음 연도에는 조직개편을 통해 내가 기존 업무를 계속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최대한 내가 원하는 것을 하기 위해 노력해 보려고 한다.
교육 수료
주니어 개발자인 현재 나 스스로 성장하기 위해 많은 것을 찾아봤고, 우연한 계기로 우아한형제들 교육 플랫폼인 NEXTSTEP을 알게 되어 해당 플랫폼 내 강의 중에서 가장 인기 있고 나한테 중요해 보이는 강의를 선택해 수강하였다. 바로 ‘TDD, 클린 코드 with 자바’이다.
한 줄로 설명하자면 해당 강의를 통해 Java 개발에서의 확실한 성장을 할 수 있었다는 점이고, 누군가에게 확실하게 추천해 줄 수 있다는 점이다.
독서
작년 2023년도 한 해 동안 총 8권의 책을 읽었다. 주로 많이 읽은 분야는 내가 처음 시작하게 된 재테크 쪽이었다. 확실히 중학생, 고등학생 때 이후로는 책을 별로 안 읽다가 읽으니 너무 재밌고 좋았다. 나 자신이 지식이 차서 뭔가 달라지는 기분이랄까.
하지만 아쉽게도 올해는 팀 이동 등 많은 일이 생겨 책 읽을 시간을 많이 확보하지 못하였고, 결국은 2권밖에 읽지 못했다. 너무 박한 양이다..
책을 읽으면 시간도 잘 가고, 지식도 채우고 너무 많은 이점이 있는 행위인데 별로 하지 못해서 아쉬웠고, 다음 해에는 최소 6권 이상의 책을 읽기 위해 노력해 볼 생각이다.